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영농정보

주간농사정보

주간농사정보 제 38호 (2025.9.29.~10.5.)

관리자 2025-10-02 조회수 142

농업정보
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16.7~17.9℃)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(4.0~23.3㎜)보다 많겠음 *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(상층 한기를 동반한 기압골의 영향)

• (저수율) 71.4%(평년 68.4%의 104.4%)  * 9. 22. 기준


• (적기 수확)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% 이하일 때이며 출수 후 조생종 45~50일, 중생종 50~55일, 중만생종 55~60일

• (건조 및 저장) 일반용은 45℃, 종자용은 40℃ 이하에서 건조하며,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%, 저장온도 10~15℃, 상대습도 70~80% 정도 유지

• (땅심 높이기) 볏짚 3~4등분 절단 400~600kg/10a 시용, 깊이갈이 실시


밭작물

• (콩)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하고 콤바인으로 수확할 때는 수분함량 18~20% 정도에 실시

• (가을감자) 예비저장은 온도 12~15℃, 습도 80~85%에서 1주일 정도 실시, 본 저장은 3~4℃, 습도 80~85%에 보관

• (고구마) 10월 상중순까지 수확, 아물이(큐어링) 처리

• (보리·밀) 보리·밀은 월동 전에 본 잎 5~6매 확보, 파종 전 종자소독

• (유채) 파종적기는 남부지역 10월 상순, 제주도 10월 중순


채소

• (가을 배추‧무) 결구 시작된 포장은 1일 10a당 200ℓ 물 인공 관수

• (마늘‧양파) 파종과 아주심기 후 비닐피복으로 지온 높임, 토양수분 적정 관리

• (시설채소) 보온준비, 10월~11월 상순 외부 매개충 유입 우려 집중관리

• (딸기) 아주심기 후 1개월 후 보온실시, 야간온도 12~15℃ 관리


과수

• (수확)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, 비 그친 후 익음 정도에 따라 2~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

• (가을거름) 쇠약해진 나무 수세 회복 및 저장양분 축적으로 이듬해 봄 생육 촉진


화훼

• (국화 관리요령) 생육이 지연되는 로제트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 조생종은 5℃ 이하에서 15일, 만생종은 4주 이상 저온 경과시켜 줌


특작

• (인삼) 10월 중순~11월 상순사이 표준이랑 규격, 방향에 맞춰 조성

• (약용작물) 더덕은 10월 중순 이후부터 수확이 가능하며, 30~50g 이상 수확, 둥굴레 종근 파종 시기는 10월 상순~11월 상순이 적당함

• (느타리버섯) 온·습도 관리에 유의하며, 생육기 습도는 75~85% 유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