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영농정보

주간농사정보

주간농사정보 제 30호 (2025. 8. 4. ~ 8. 10.)

관리자 2025-07-31 조회수 43

농업정보
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25.3~26.9℃)과 비슷하거나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(31.0~61.8㎜)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*고기압의 영향(일시적 저기압의 영향)

• (저수율) 75.7%(평년 70.3%의 107.7%)  * 7. 28. 기준


• (후기 논 관리) 6월 상순 모내기를 한 중생종, 중만생종은 출수 15일 전부터 이삭 팬 후 10일까지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

• (병해충 방제) 고온 환경으로 잎집무늬마름병, 키다리병, 이삭도열병,  노린재류, 멸구류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실시


밭작물

• (콩) 콩 잎줄기마름병, 노린재 방제,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

• (가을감자) 중부지방은 8월 상∼중순, 남부지방은 8월 중∼하순 파종 적기

• (참깨) 1모작 적기 수확, 2모작 순지르기 실시


채소

• (고추) 웃거름을 제때 알맞은 양을 주되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

• (고랭지 배추‧무) 결구기 염화칼슘 0.3%액을 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, 영양제 및 요소 0.2%액을 살포하여 생육촉진

• (시설채소) 차광 및 환풍, 포그시설을 종합적으로 활용 4~6℃ 온도저감


과수

• (폭염기 과원관리) 31℃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, 적기 물주기, 가지 유인 등

• (일소원인) 강한 햇볕, 고온·건조 등 스트레스로 세포에 유해한 활성산소 발생

• (생리장해) 사과 고두병은 8~9월 장마 시 발생 증가, 수용성 칼슘 엽면살포


화훼

• (국화) 관생화, 꽃잎 이상 등 고온 장해 발생 예방을 위해 주간온도를 30℃ 이하로 관리

• (국화) 12월 하순에 출하를 계획하는 경우 삽목 실시, 로제트 타파 처리 방법은 저온처리, GA 처리, 삽수 냉장 처리가 있음


특작

• (인삼) 고온 피해는 주로 1~2년생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고, 고온기 예정지 관리 시 토양살충제를 살포하고 깊이 갈이를 해 줌

• (약용작물) 고온기 흰가루병, 점무늬병, 탄저병 등의 병해와 응애, 진딧물 등 해충 발생이 쉬우므로 포장을 관찰하여 조기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함

• (버섯) 버섯 균이 자라는 동안은 호흡으로 인한 가스농도가 높아지므로 수시로 환기하여 신선한 공기로 교환해 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