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업정보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25.7~26.9℃)보다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(23.5~62.0㎜)과 비슷하겠음 *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덥겠음(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음)
• (저수율) 80.9%(평년 70.5%의 114.8%) * 7. 21. 기준
벼
• (본답관리) 이삭 생길 때부터 팰 시기까지는 환경에 민감하므로 물 관리 철저
• (병해충관리) 도열병, 잎집무늬마름병, 먹노린재 등 적용약제 방제
• (강우대책) 침수된 논은 깨끗한 물 걸러대기와 병해충 방제 실시
밭작물
• (콩) 콩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여 웃거름 주기(개화기, 비대기 종실 불량 시 유안 4~6㎏/10a 시용)
• (가을감자) 장마 후 가을감자 파종, 습한 포장에는 통씨감자로 파종하는 것이 안전
• (참깨) 참깨 2모작에서는 역병과 잎마름병 위주의 중점 방제
채소
• (고추) 고온기 지속적 관수로 수분 유지 및 석회결핍 예방
• (고랭지 배추‧무) 고온이 지속되면 정식 25일 이후 무름병 발생이 심해짐으로 1주 간격으로 예방적 약제 살포함
• (마늘‧양파) 씨마늘 준비, 양파 조생종 가을뿌림 재배 8월 중순~하순 파종
과수
• (폭염기 과원관리) 31℃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, 적기 물주기, 가지 유인 등
햇볕데임 피해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수세안정 위해 늦게 제거하고 피해 심하면 바로 제거
- 일소원인: 강한 햇볕, 고온·건조 등 스트레스로 세포에 유해한 활성산소 발생
• (생리장해) 사과 고두병은 8~9월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발생 증가, 수용성 칼슘 엽면살포
화훼
• (장미) 여름철 잦은 강우에 따른 생육관리 철저, 집중 호우 전에 배수로 정비 등으로 시전 대비, 적용약제 사용하여 병해 관리
특작
• (인삼) 고온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은 2중직 차광막을 덧씌우고, 토양 수분이 부족하면 고온피해가 증가하므로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함
• (약용작물) 구기자는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해주고, 열풍 건조한 경우는 열매 크기에 따라 건조온도와 시간을 준수함
• (버섯) 균 기르기를 할 때는 한낮 고온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, 가능한 품종특성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여 균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