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업정보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18.5~19.7℃)보다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(4.7~20.8㎜)과 비슷하겠음 * 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음(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)
• (저수율) 82.3%(평년 73.4%의 112.1%) * 5. 19. 기준
벼
• (적기 모내기)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하여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
• (잡초방제) 모내기 전·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~5㎝ 깊이로 5일 이상 담수
• (물관리) 모낸 직후 7~10일간 5~7㎝ 깊이로 담수, 새끼 칠 때는 2~3㎝로 담수
• (비료사용)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의 원인이므로 적정 시비
밭작물
• (고구마) 70∼75㎝로 두둑 만들기 및 비닐멀칭, 적기 정식 실시
• (콩) 적기 파종, 논 콩 배수구 설치, 파종 후 제초제 처리
• (참깨) 적용약제 이용 종자 소독, 비닐피복 및 지역별 적기 파종
• (수수) 적기 파종, 모가 10~15㎝ 자랐을 때 옮겨 심기 실시
• (들깨) 중북부 지역 6월 상순, 남부지역은 6월 하순 파종, 본밭 재배시기 조절 및 대파작물 이용 시에는 이식재배 실시
• (옥수수) 멸강나방, 거세미나방 등 병해충 적기 방제
채소
• (노지고추) 아주심기 후 지주대 설치, 생육상태에 따라 웃거름 양·시기 조절
• (마늘・양파) 적기 수확, 중만생종 양파는 너무 늦게 수확하면 저장성이 떨어지므로 도복 후 잎이 마르기 전에 수확
• (마늘 주아재배) 구 마늘 수확 직전·동시에 주아를 채취하여 저장
• (고랭지배추) 육묘 시 방충망 피복 및 순화, 뿌리혹병 예방
과수
• (6월낙과) 마무리 적과 늦추어 실시, 배수관리 철저, 영양제 살포 자제
• (우박피해)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, 살균제 살포하여 2차 감염 방지
• (열매솎기) 사과는 만개 2주후부터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, 배는 생리적 낙과가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, 복숭아는 예비·본 열매솎기 실시
• (착과량 조절) 과실은 1과당 확보된 적정엽수를 통해 양분을 만들고 비대 발육
• (병해충 방제) 사과(5월은 붉은별무늬병, 점무늬낙엽병, 장마 후 탄저병 방제)복숭아(낙화 후 세균구멍병, 탄저병 방제), 해충(진딧물, 복숭아순나방 방제)
화훼
• (선인장)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일소현상이 발생하므로 40℃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 실시
특작
• (인삼) 고온 피해 예방을 위해 개량 울타리를 개방하여 해가림 내 통풍을 원활히 하고, 2중직 또는 3중직 차광망 등을 사용하여 광량을 낮춤
• (약용작물) 황기는 순지르기 실시, 더덕은 지주 설치 및 덩굴 올리기
• (느타리버섯) 여름재배 생육 시 실내온도 15~18℃, 습도는 80% 정도를 유지하여 고온기 기형버섯 발생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를 예방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