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업정보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15.7~16.7℃)보다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(13.7~34.1㎜)과 비슷하겠음 *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(따뜻하고 건조한 대륙성 기단의 영향)
• (저수율) 84.6%(평년 79.5%의 106.4%) * 4. 28. 기준
벼
• (못자리 관리) 지역별 적기 파종, 적정 물관리 및 온도 유지, 백화묘 및 들뜬모 사전 예방 및 조치
• (모내기)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하여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 도모
• (거름 주기)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의 원인이므로 적정 시비 실시
• (잡초방제) 모내기 전·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~5㎝ 깊이로 5일 이상 담수
밭작물
• (고구마) 고온기 환기 및 야간 보온 등 육묘 관리, 비닐멀칭 재배(5월 상∼6월 하)
• (콩) 적기 파종, 논 콩 배수구 설치, 파종 후 제초제 처리
• (참깨) 적용약제 이용 종자 소독, 비닐피복 및 지역별 적기파종
• (조) 종자 선별을 위한 염수선 및 전용약제 이용 소독 실시
• (수수) 적기 파종, 모가 10~15㎝ 자랐을 때 옮겨 심음
채소
• (노지고추) 정식 포장 준비, 정식 전 묘 관리, 아주심기는 마지막 서리가 온 이후 맑은 날 실시, 묘상에 심겨져 있던 깊이로 심어줌
• (마늘・양파) 구비대기 물주기, 노균병・잎마름병 방제 실시
• (배추‧무) 고랭지 배추 육묘 관리, 봄배추 적기수확, 무 웃거름 아주심기 후 2회 실시
과수
• (관수관리) 세포분열기(세포수 증가, 신초생장, 꽃눈분화 등) 물관리 철저
- 1~2시간 관수하고 일정시간 멈추었다가 다시 관수(사질토 여러번)
• (우박피해)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, 살균제 살포하여 2차 감염 방지
• (열매솎기) 사과는 만개 2주 후부터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, 배는 생리적 낙과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, 복숭아는 예비·본 열매솎기 실시
화훼
• (카네이션) 삽목 후 6마디 정도 자라면 1차 적심하고 4∼5분지가 되게 하며 2차 적심은 1차 적심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 실시
특작
• (인삼) 온도가 높아지면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 필요, 복합적인 이유로 나타나는 생리장해는 토양 검정 후 적절한 조치 취해줌
• (약용작물) 오미자는 개화기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하고, 지황은 본잎이 4~5매가 되면 꽃대가 나오므로 가급적 꽃대를 빨리 잘라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