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업정보
• (기상) 기온은 평년(7.0~8.8℃)과 비슷하거나 높겠고, 강수량은 평년
(3.7~10.7㎜)과 비슷하겠음 *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음
• (저수율) 82.4%(평년 76.5%의 107.7%) * 3. 17. 기준
벼
• (사전준비) 건전한 볍씨, 상자, 약제 등 육묘 준비, 균일한 파종 위해 탈망 작업 실시
• (벼 육묘) 볍씨 선별 위해 까락 제거 후 소금물가리기 실시(보급종 제외), 종자 소독 및 싹틔우기 실시
밭작물
• (봄감자) 아주심기 20∼30일 전 산광싹틔우기 실시, 적기 아주심기 및 제초제 처리
• (고구마)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, 육묘온상 만들기
• (콩·팥 종자) 콩·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
채소
• (시설하우스) 봄철 강풍 대비 시설물, 비닐 등 점검, 황사 발생 시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 최소화 및 피복제 세척 실시
• (시설수박) 적정잎수 확보후 수정 실시, 수정 전·후 토양 수분 관리
• (고추) 육묘 후기에는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관리, 육묘기 고온장해 예방을 위한 환기 관리 필요
• (마늘・양파) 관수시설 점검, 구비대기 물주기, 병해충 방제
과수
• (저온피해 예방) 방상팬에 의한 송풍법, 미세·미온수 살수법 활용
• (묘목심기)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 가급적 봄 식재(3월 중·하순 전에 식재)
• (병해충 방제) 기계유유제, 석회유황합제, 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월동병해충 밀도↓
• (플럼코트) 인공수분 시기는 플럼코트 개화기간(약10일) 중 낮 최고기온 17℃ 이상 되는 포근하고 바람 없는 날, 오전 10시~오후 4시 사이에 하는 것이 효과적
화훼
• (국화) 장일 하에서 육묘한 묘를 직접 단일에 정식하는 발근묘 정식법, 본포에 직접 삽목하여 재배하는 직삽 재배법이 있음
• (탄산가스 시용) 맑은 날은 일출 30분 후부터 환기를 개시할 때까지 2∼3시간 정도 시용(적정농도 1,000~1,200ppm)
특작
• (인삼) 모종삼 이식은 채굴 후 바로 심어 모잘록병과 잿빛곰팡이병을 예방하고, 재배포장에서는 지난해 죽은 잔해물과 잡초를 완전히 제거해줌
• (약용작물) 황기나 더덕은 파종 후 서리피해가 없도록 지역의 만상일을 고려하여 파종해줌
• (느타리버섯) 균기르기 작업은 단계별 온도관리가 중요하며 균의 활력이 높아지도록 수시로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줌